2025년03월26일wed
 
티커뉴스
OFF
전체뉴스보기
뉴스홈 > 뉴스 > 사회  
트위터로 보내기 요즘으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대구 도시공원 진드기에서 라임병 병원체 검출
등록날짜 [ 2024년05월07일 20시29분 ]

 

[미디어유스 라인뉴스팀]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4월 북구와 달서구에서 채집한 진드기에서 라임병 병원체를 확인함에 따라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다.

 

보건환경연구원은 3월부터 11월까지 9개월간 두류공원 등 지역 내 도시공원 등을 대상으로 참진드기 분포 실태를 조사하고 채집 진드기 중 진드기 매개 감염병 4종*의 원인병원체를 검사하는 참진드기 감시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진드기매개뇌염(TBEV), 큐열, 라임병

 

연구원은 지난 3월부터 4월까지 지역 내 도시공원과 산책로 주변 11개 지점에서 진드기 249마리를 채집해 병원체를 검사했으며, 4월 북구와 달서구 도시공원에서 채집한 진드기에서 라임병을 매개하는 병원체가 확인돼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라임병은 미국과 유럽의 풍토병 중 하나로, 기후변화로 인해 2011년 이후 국내에서도 매년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2023년 환자 발생 건수는 45건으로 2022년 22건에 비해 2배 이상 증가했다.

 

라임병의 증상은 발열, 두통, 피로감과 함께 특징적인 피부병변인 유주성 홍반*이 나타나며,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치되지만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 유주성 홍반 : 가장자리는 붉고 가운데는 연한 모양을 나타내는 과녁 모양의 피부 증상

 

고복실 대구광역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야외활동 시 진드기 매개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 진드기에 물리지 않을 것”을 당부했으며, “몸에 붙은 참진드기를 발견할 경우, 구기 부분을 직접 제거하는 것이 어렵고 2차 감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의료기관을 방문해 안전하게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미디어You's © 미디어유스 >
올려 0 내려 0
라인뉴스팀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트위터로 보내기 요즘으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2024 대구 프랜차이즈 창업 박람회’, 엑스코서 개최 (2024-05-07 20:29:39)
대구시, 소규모 사업장 ‘안전한 일터 만들기’ 지원 (2024-05-07 20:28:56)
 미디어You's   SNS 따라가기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RSS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광주광역, 난임부부 한방치료 최...
광주FC, 광주원정을 해외 원정 표...
“대구시 만화·웹툰산업 활성화 ...
대구시, 산불재난 관련 피해 복구...
포항시-경북도, ‘복합 해양레저...
경주시, APEC 정상회의 대비 상수도...
“봄바람 타고 떠나요~”… 경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