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03월29일fri
 
티커뉴스
OFF
전체뉴스보기
뉴스홈 > 뉴스 > 사회  
트위터로 보내기 요즘으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석촌동고분군서 화장된 유골 첫 발굴… 백제왕실 장례문화 연구 새 전기
등록날짜 [ 2019년10월23일 19시34분 ]



[미디어유스 라인뉴스팀] 서울시가 한성백제 왕실묘역인 석촌동 고분군(사적 제243호)에서 화장 후 분골과정을 거친 사람 뼈와 다량의 토기, 장신구, 기와 등 유물을 함께 발굴했다. 백제 고분에서 화장된 인골이 다량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백제 한성기 왕실의 장례문화를 유추할 수 있는 단서가 부족한 상황에서 왕실의 장례문화를 이해하는 데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여러 개의 적석묘(돌무지무덤)가 총 100m에 이르는 규모로 서로 이어져 있는 초대형 ‘연접식 적석총’도 처음으로 발굴됐다. 이렇게 연결된 형태의 고분은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된 바 없는 새로운 형태다. 그동안 적석총을 개별 단위 무덤으로만 파악해온 통념을 깨는 것이어서 고고학계의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이 석촌동 고분군에 대한 연차별 발굴조사를 본격화한 2016년 당시 외관으로 일부 구조만 추정했던 것이 실제로 확인된 것이다.

 

※ 적석묘(積石墓): 돌을 쌓아 만든 작은 무덤.

적석총(積石塚): 돌을 쌓아 만든 무덤 중 거대한 규모를 가진 것.

 

특히, 초대형 ‘연접식 적석총’ 발굴 과정에서 금귀걸이, 유리구슬, 중국제 청자 같이 소유자의 권위와 위엄을 드러내기 위한 위세품(威勢品)과 토기, 기와 등 총 5천여 점의 유물이 함께 출토됐다. 무덤의 거대한 규모뿐 아니라 이와 같은 출토 유물의 양상을 볼 때 석촌동 고분군이 초기백제의 왕실묘역이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관장 김기섭)은 23일(수) 오전 10시 「서울 석촌동 고분군 발굴조사 현장설명회」를 열고, 석촌동 고분군에 대한 발굴조사 중간결과를 이와 같이 발표했다.

 

서울 석촌동 고분군(송파구 가락로 7길 21)은 1970년대부터 본격적인 발굴조사가 이뤄지면서 백제 왕릉급 고분군으로 인식돼 왔다. 특히 3호분은 한 변의 길이가 50m에 달하는 대형 적석총으로 백제의 전성기를 이뤘던 근초고왕릉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74년 잠실 일대 개발을 계기로 본격적인 발굴조사가 시작됐고 '80년대엔 인근 민가들의 철거로 전면적인 조사가 이뤄지면서 '87년부터 ‘백제고분공원’으로 조성, 관리되고 있다. 현재 고분공원 내에는 적석총 5기와 흙무덤 1기 등 총 6기가 복원‧정비되어 있다.

 

한성백제박물관은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2015년 10월부터 석촌동 1호분 북쪽지구에 대한 연차별 발굴조사를 진행해오고 있다. 이번 조사는 석촌동 1호분 북쪽지구에서 시작해 1호분 주변에 이르는 총 5,290㎡ 구간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핵심적으로, 이번에 발굴된 초대형 ‘연접식 적석총’은 네모꼴의 중소단위 적석묘(16기)와 이를 이어주는 연접부, 화장된 인골을 묻은 매장의례부(3개소)를 빈틈없이 맞붙여 가며 무덤규모를 확대시킨 특이한 형태다.

 

특히, 이 연접식 적석총은 1987년 마지막 복원‧정비 당시 2개의 ‘쌍분’(남분‧북분) 형태로 복원됐던 1호분과도 이어져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로 1호분이 단독분이 아닌 연접식 적석총의 일부분일 수 있는 가능성이 제기되는 부분이다.

 

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은 이번 연접식 적석총의 발견으로 향후 발굴조사에 따라 1987년 복원‧정비한 석촌동 고분군에 대한 관점과 조사‧연구, 경관관리도 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복원‧정비되어 있는 6기(적석총 5기, 흙무덤 1기) 외에 주변에 알려지지 않은 또 다른 고분이 묻혀있을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1917년도에 제작된 고분분포도에 따르면 석촌동, 가락동(현 송파동), 방이동 일대는 총 300여 기의 대형 고분이 있었던 거대 고분군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전쟁과 도시개발로 대부분 훼멸되어 현재 석촌동과 방이동 고분군에 극히 일부만 남아 사적으로 보존되고 있다.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공주 송산리 고분군이나 부여 능산리 고분군과 같은 왕실묘역인 점을 감안할 때 석촌동‧가락동 일대에는 아직도 지하에 무덤 일부가 남아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시는 설명했다.

 

또, 연접식 적석총의 일부인 3곳의 매장의례부(시신을 매장하고 상장례와 관련한 의례가 치러진 시설)에서는 잘게 부숴진 사람뼈가 각각 발굴됐다. 다량의 토기와 장신구, 기와 등 유물도 함께 발굴됐다. 분석 결과 이들은 모두 화장되어 분골 과정을 거친 것으로, 제사 유물과 함께 고운 점토로 덮여 있었다.

 

한편, 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은 석촌동고분군과 방이동고분군을 잇는 한성백제 왕릉구역을 설정하고 풍납토성, 몽촌토성으로 구성된 왕성과 함께 백제 도성의 경관 복원을 위해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발굴조사 성과를 지역 주민과 함께 공유하고 백제 역사 유적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발굴현장 답사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이러한 조사·연구·교육 활동은 향후 서울의 백제왕도유적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학술기반 및 설명자료로 쓰일 예정이다.

 

이번 현장설명회에 소개하는 발굴 성과는 지역 주민의 이해를 돕고 석촌동 고분군 복원 정비 및 서울의 백제 왕도유적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에 새로운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 미디어You's © 미디어유스 >
올려 0 내려 0
라인뉴스팀 이기자의 다른뉴스보기
트위터로 보내기 요즘으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기사글확대 기사글축소 기사스크랩 이메일문의 프린트하기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서울시, 3년 간 10만 명에 '청년수당' 확대 (2019-10-23 19:35:30)
서울 독거노인 비율, 강북구가 3.6%로 가장 높아 (2019-10-22 20:57:57)
 미디어You's   SNS 따라가기
트위터 페이스북 구글 RSS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
광주광역, ‘광주 브랜드 학교’ ...
광주광역, 2024년 공직자 재산변동...
‘佛‘발레오’, 자율차 핵심부품...
“정부의 포항 이차전지 특화단지...
경주시, 사회적경제 활성화 다양...
경주시, 내달 5일 에코플레이 로드...
영천시, 일자리 대책 5대 전략 142...